□ 청주공업고등학교(교장 김경희) 항공모빌리티과 학생들이 13일(화) 오전, 직접 설계하고 제작한 UAM(Urban Air Mobility, 도심항공교통) 기체의 비행 시연회를 학교 운동장에서 개최했다.
□ 이번 시연회에는 송승호 충청대학교 총장, 박종원 청주교육지원청 교육장 등 교육청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호버링 비행과 택싱(Taxing) 운행을 성공적으로 진행했다.
□ UAM(Urban Air Mobility, 도심항공교통)은 도시 내 이동을 돕는 항공 이동 수단으로, 전기 수직이착륙기와 같은 친환경 교통수단을 활용해 도시 교통 체증 해결을 해결하는 차세대 이동수단이다.
□ 이날 시연된 UAM 기체는 최대 7분간 호버링을 진행하였고, 지상에서 1m 정도 비행하며 안정적인 원격 택싱 주행에 성공했으며, 학생들은 다음 단계로 자율 비행 시스템 개발과 실제 물품 운송 테스트를 계획하고 있다.
□ 프로젝트는 NCS(국가직무능력표준) 기반 교육과정과 미래유망고졸인력양성사업과 연계되어 추진되었으며, 국내 항공 기업과의 업무협약을 통해 전문가 멘토링을 받으며 진행되어, 현장과 교육의 간극을 좁히는 모범적인 산학협력 사례로도 주목받고 있다.
□ 기획부터 설계, 제작, 시험 비행까지 전 과정이 학생들의 주도로 진행되었으며, 특히 항공모빌리티과 학생 10명은 ▲기체 프레임 설계 ▲전기 모터 시스템 구성 ▲비행 제어 소프트웨어 프로그램까지 도맡아 실제 항공우주산업에서 요구되는 실무 역량을 키워 실제 산업 현장에서 요구되는 전문성과 창의성을 겸비한 인재로 성장하는 발판을 마련하였다.
□ 프로젝트에 참여한 3학년 심은환 학생은 “모든 과정을 직접 해보며 진짜 항공 기술자가 된 느낌이었다.”며, “항공 관련 진로에 대한 확신이 생겼고, 앞으로 자율비행 기술까지 도전하고 싶다.”고 소감을 밝혔다.
□ 시연회에 참여한 교육청 관계자는 “청주공고 항공모빌리티과의 이번 성과는 직업계고 학생들의 무한한 가능성을 보여주는 사례이다.”라며, “4차 산업혁명 시대에 발맞춰 학생들이 미래 산업의 주역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다.”라고 말했다.
□ 김경희 청주공업고등학교장은 “교실에서의 이론 교육을 넘어 학생들이 직접 설계하고 만들고 시험하는 전 과정을 경험하게 하는 것이 진정한 교육의 가치”라며, “앞으로도 학생들이 미래 산업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실질적인 역량을 갖출 수 있도록 현장 중심 교육을 강화해 나갈 것이다.”라고 밝혔다.